알림광장

보도자료/성명서 - [보도자료]비대면 시대, 'OTT 구독' 필수지만 시각장애인에겐 '남의 얘기'

작성자담당자

작성일시2022-08-30 오후 1:48:44

첨부파일 [보도자료]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 조사_220830.hwp

 

대형 로펌에 취직하여 고군분투하는 자폐인 변호사의 이야기’, ‘사회적 편견에 부딪히며 삶을 살아내는 장애인 가족의 애환을 담은 이야기는 최근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는 인기 드라마의 소재들이다. 이처럼 장애인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들이 주목을 받고 있지만, OTT 플랫폼을 통해 방영되는 이러한 인기 드라마들을 정작 시각장애인들은 시청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회장 김영일, 이하 한시련) 산하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가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왓챠 4가지의 OTT 플랫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ndroid/ iOS)을 대상으로 시각장애인의 접근성 실태를 조사한 결과 동영상 검색, 동영상 정보 확인, 동영상 시청 등에 대한 시각장애인의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OTT 내 총 5개의 서비스 이용 기능(로그인, 검색 기능 사용, 동영상 정보 확인, 동영상 시청, 앱 설정변경) 중 시각장애인이 불편함 없이 이용 가능한 기능은 넷플릭스의 앱 설정변경에 불과했다. 티빙과 왓챠의 경우 동영상 시청앱 설정변경이 이용 불가능하였으며, 웨이브의 Android에서는 앱 설정변경, iOS에서는 검색 기능 사용동영상 시청이 각각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과업

조사대상

로그인

검색 기능

동영상 정보

동영상 시청

설정(계정, 동영상)변경

Android

넷플릭스

웨이브

X

티빙

X

X

왓챠

X

X

iOS

넷플릭스

웨이브

X

X

티빙

X

X

왓챠

X

X

 

 

동영상 시청 기능의 경우 동영상 재생 버튼의 대체텍스트가 제공되지 않아 시각장애인들이 재생 버튼을 선택할 수 없었으며, 동영상 시청 중에는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는 버튼, 음량 조절 버튼, 설정 버튼 등이 화면에서 사라져 시각장애인들의 동영상 플레이어 이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작동 버튼을 다시 화면에 나타나도록 하여도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화면낭독프로그램을 통해 미처 탐색하기도 전에 화면에서 금세 사라져 제대로 이용할 수 없었다.

 

웨이브(iOS)의 경우에도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버튼의 대체텍스트가 제공되지 않아 재생할 수 없었으며, 음량 버튼, 설정 버튼 등 동영상 시청 중 작동을 위한 버튼들에 대해서도 대체텍스트가 제공되지 않아 이용이 불가능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검색 시에는 전체, 프로그램, 에피소드와 같은 메뉴 영역에서는 기능정보(, 버튼)에 대한 시각장애인 접근성이 제공되지 않아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요소인지를 판단하기 어려웠으며, 동영상 시청 중에는 음량 조절 버튼, 설정 버튼 등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화면에서 사라져 동영상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하기 매우 불편했다.

 

티빙(Android/iOS)의 경우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모든 버튼의 대체텍스트가 제공되지 않아서 동영상 실행이 불가능하였고, 동영상의 설정 및 계정 설정 확인 시 설정으로 진입하는 버튼에 대체텍스트가 제공되지 않아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환경설정에서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ON, OFF 버튼에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었으며, 동영상 상세정보 확인 시에는 화면낭독프로그램에서 이전 화면이 인식되어 현재 확인하고 있는 화면의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왓챠의 경우 동영상 재생 후 작동 버튼들이 화면에서 사라진 뒤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화면낭독프로그램으로 재생 중지, 화면 잠금 등의 기능을 다시 화면에 나타나게 할 수 없었다. 동영상의 설정과 계정 설정 확인 시에는 iOS의 경우 재생 설정에서 에피소드 자동 이어 보기 버튼의 ON, OFF 등 현재 선택된 상태에 대해 알 수 없었고, 기능정보(, 버튼) 없이 텍스트로만 인식되어 자동 이어 보기 설정을 변경할 수 없었다. 또한, 동영상 정보 확인 시에는 상세 내용과 에피소드 영역의 삭제’, ‘다운로드버튼이 어떤 회차의 동영상을 삭제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는지 정확하게 제공되지 않아 이용이 불편하였다.

 

넷플릭스의 경우 일부 버튼(10초 앞으로, 10초 뒤로)에서 기능정보(, 버튼)를 확인할 수 없어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어떤 경우에 사용 가능한 기능인지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동영상 시청 시에는 작동 버튼들이 바로 화면에서 사라져 동영상 제어 기능 이용이 불편했으나, 동영상의 설정 및 계정 설정을 확인할 때 설정 버튼 명과 현재 선택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가 제공되어 이 기능은 이용할 수 있었다.

 

기술의 발전은 장애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고, 사회참여의 범위를 확대시키고 있다. 하지만 위의 조사 결과와 같이 장애인의 정보접근에 대한 고민 없는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보격차를 심화시키기도 한다.

 

모바일을 통한 미디어 소비 시장은 날로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미디어 소비자로서 시각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향상을 위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인증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이연주 사무총장은 "웹접근성 인증제도 도입 후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시각장애인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인증제도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미디어 접근권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 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