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내내 인터넷에는 '지하철 무개념녀'가 화제였다. 한 여성이 안내견과 함께 지하철을 탄 시각장애인에게 "지하철에 큰 개를 데리고 오냐. 미쳤냐. 당장 치워라. 내겐 상당히 더럽다"며 난동을 부렸기 때문이다. 이 여성의 소란은 심각해졌고 지하철을 멈추는 상황을 만들기까지 했다고. 이에 시각장애인 당사자는 굉장히 난감해했다고 한다. 이를 지켜본 목격자, 네티즌 심지어 연예인까지 일제히 "안내견은 시각장애인의 눈과 발"이라며 안내견에 대한 국민 의식에 대해 지적하고 나섰다.
시각장애인안내견은 실제 '시각장애인도우미견'으로 불린다. 양성된 지 약 20년이 다 돼 가나 여전히 도우미견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기만 하다. 그렇기에 이번 ‘지하철 무개념녀’와 같은 사건은 언제 또 터질지 모른다. 시각장애인도우미견이 왜 필요한지, 어떤 일을 하는지 국민들이 제대로 인식해야만 또 다른 사건을 예방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도우미견', 시력상실 군인 위해 등장
1차 세계대전 직후 처음 등장한 시각장애인도우미견. 화학무기에 노출된 군인들이 시력을 잃었고 독일에선 이들을 위한 시각장애인도우미견학교가 처음 생겨났다. 1970년대 이후 주요 선진국에 장애인도우미견센터가 퍼져나갔고, 세계도우미견협회도 만들어졌다. 특히 세계적으로 시각장애인도우미견 훈련이 유명한 영국에선 매년 800여 마리의 시각장애인도우미견이 무상 분양되고 있다.
시각장애인도우미견은 시각장애인의 눈을 대신해 보행 중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도록 안내하고 위험물을 인지시켜 준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목적지에 안전하게 도달하도록 돕는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도우미견이 주인의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건 아니다. 주인이 어느 정도의 지시, 예를 들어 길을 가다 왼쪽으로 가겠다고 도우미견에게 신호를 줘야, 도우미견이 왼쪽으로 방향을 틀게 된다.
▲지체장애인에게 휠체어를 갖다주고 있는 지체장애인도우미견의 모습. ⓒ에이블뉴스DB |
시각장애인도우미견은 ‘영리함’과 ‘힘’을 갖고 있어야 한다. 주변 환경에 영향 받지 않고 주인만을 위한 길을 가려면 영리함과 침착함은 물론 사납지 않아야 하며, 위험에 처한 주인을 밀어낼 수 있는 힘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조건에 맞는 종은 골든 리트리버나 라브라도 리트리버 등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혹독한 훈련만을 통해 도우미견에 적합한 개가 만들어지는 줄 알지만, 실제 도우미견에 적합한 성격과 특징을 가진 개만이 도우미견을 할 수 있다.
‘도우미견에 적합한 성격을 가졌다’고 선발된 후보견들은 '퍼피워킹'이라고 해 1년 간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일반 가정에서 키워지기도 한다. 퍼피워킹을 마친 후보견은 이후 본격 훈련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