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 재난 어떻게 대처할까
재난정보 수단 준비, 평소 이웃사람과 소통 중요
인권포럼 '장애유형별 통합 재난 매뉴얼' 소개-①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9-01-22 16:59:56
▲시각장애인 재난 매뉴얼 속 그림. 시각장애인은 평소에 재난정보 수단을 준비하고, 이웃사람과의 소통이 중요하다.ⓒ한국장애인인권포럼 |
6가지 장애 유형별로 재난 시 어떤 취약점들이 있는지, 평소에는 어떠한 준비가 필요한지, 재난이 일어났을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의 과정을 포함해, 장애인과 주변인들이 알아야 하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장애인 뿐 아니라 가족, 활동지원사 등 비장애인 역할도 함께 기술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에이블뉴스는 시각, 청각, 지체, 내부기능, 지적, 정신 등 총 6가지 장애유형별 매뉴얼을 차례로 소개한다. 첫 번째는 시각장애인이다.
■시각장애인 재난, 어떤 점이 어려운 거죠?
시각장애인은 재난의 상황과 알림 등이 TV로 전달되어도 영상과 문자만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재난정보를 받는 것이 늦어지거나, 전달을 받을 수 없다.
또 주의의 재난 상황을 판단할 수 없어 대응이 늦어지며, 걷는 것이 익숙한 장소에서도 상황이 변하면 이동을 할 수 없어 혼자서 대피할 수 없다.
■평소 시각장애인 ‘재난준비’ 이렇게
일단 시각장애인 당사자는 평소 이웃과 대화나 소통이 중요하다. 특히 혼자 사는 경우 과거의 재난 사례를 보면 우선적인 지원은 지자체의 도움이 아닌 이웃 사람의 도움이었다,
라디오 등 음성으로 재난정보를 얻을 수단을 준비해두며, 미리 지정된 대피소와 피난 경로를 확인해두고, 지역의 방재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지정된 대피소 외에 임시 대피소가 되는 학교, 공공시설 등의 장소도 확인해두면 좋다.
■평소 시각장애인 주변인들 ‘재난준비법’
본인이 사는 가족이나 주위의 지원자와 재난 대응 회의를 열고 재난 시의 행동과 대비, 필요한 지원을 미리 논의한다.
가구의 넘어짐 방지나 비상용품의 준비 등 주변의 재난대비 대책에서도 시각장애인은 지원이 필요하다.
지역의 대피훈련 등에 시각장애인에게 말해 참가하도록 한다. 또한 지역의 행사 등에서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 쓰기 쉽도록 ‘배리어 프리 설계’를 통해 특별히 배려할 필요가 있다.
‘배리어 프리 설계’란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제도적 장벽을 허물자는 운동으로, 1974년 국제연합 장애인생활환경전문가회의에서 ‘장벽 없는 건축 설계’에 관한 보고서가 나오면서 건축학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시각장애 특성 ‘바람과 배려사항’
재난 시에 보호할 필요가 있는 사람에 대해 지원제도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등록하고 대피할 때 지원을 받는 것이 좋다. 비상시 가지고 나갈 물건 중에 휴대 라디오, 흰 지팡이, 점자판, 기타 일상생활 도구를 포함해둬야 한다.
당뇨병, 녹내장 등으로 상비약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의 연락처와 약의 이름 등을 기록해둬야 한다. 자신의 이름, 혈액형, 긴급연락처 등을 적은 ‘장애인 카드’의 휴대도 큰 도움이 된다.
■재난 일어났을 때 시각장애인‧주위의 대응법
지진이 일어났을 경우 테이블이나 책상 밑에 몸을 숨겨 몸을 보호한다. 진동이 잦아들면 전기와 화기에 대해서 가족이나 이웃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재난 직후는 낙하물과 유리의 파편 등이 흩어져 위험할 수가 있어, 허둥지둥 하지 않고, 인근의 사람에게 정보를 듣거나 휴대 전화와 문자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가족과 이웃 사람에게 지원을 부탁하고 대피로로 이동하면 된다.
주위의 사람이 시각장애인을 지원하는 경우, 이동 등을 지원하는 것 외에 주위의 상황과 알고 있는 정확한 정보에 대해서도 전달해줘야 한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