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광장

한시련 핫이슈 - [보도자료] 적정 설치율 41.9%에 불과한 보건소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작성자김민지

작성일시2025-04-10 오전 10:27:55

첨부파일 20250410_102624.jpg[보도자료] 적정 설치율 41.9%에 불과한 보건소 시각장애인편의시설 실태_250410.hwp

[보도자료] 적정 설치율 41.9%에 불과한 보건소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태1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회장 김영일)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는 202431일부터 831일까지 약 6개월간 시각장애인의 보건의료시설 접근성을 파악하기 위해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전국 257 보건소의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총 4,160개의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조사 항목 중 적정 설치된 항목은 단 41.9%에 불과하였다. 부적정 설치된 항목은 42.2%, 미설치된 항목은 15.9%로 조사되어 시각장애인의 보건소 이용과 접근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시설 항목별 설치 현황을 보면 안내시설의 적정 설치율이 16.7%로 가장 낮았다. 그 다음으로는 위생시설(30.2%), 매개시설(45.5%), 내부시설(48.7%) 순서였다.

 

시각장애인에게 특히 중요한 편의시설인 점자블록과 점자표지판의 전체 수 17,114개 중 적정 설치율은 34.7%에 불과하여 시각장애인의 보건소 접근과 이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은 주로 손잡이, 벽면 또는 바닥에 설치하는 시설이므로 지방자치단체와 시설운영기관의 작은 관심과 예산의 집행만으로도 시각장애인의 삶에 큰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의 보건의료 접근성 및 시설 이용 편의를 보장하고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지자체와 시설운영기관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하는 바이다.

 

202412월 보건복지부는 이 조사의 후속 조치로서 전국 257개 보건소에 1(2025. 12. 31.까지)의 시정기한을 두고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시정조치를 요청한 바 있다. 전국 257개 보건소의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이 시정기한을 넘기지 않고 꼭 개선되길 기대한다.

 

조사에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kbufac.or.kr 또는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02-799-1022)에 문의 하면 된다.

 

붙임: 전국 257개 보건소의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항목별 현황 1.

 

2025. 4. 10.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편의시설항목 

항목 수

설치수 및 설치율

미설치수 및 미설치율

적정 설치

부적정 설치

매개시설

750

341

45.5%

350

46.7%

59

7.9%

내부시설

2,386

1,163

48.7%

1,003

42.0%

220

9.2%

위생시설

514

155

30.2%

251

48.8%

108

21.0%

안내시설

510

85

16.7%

151

29.6%

274

53.7%

4,160

1,744

41.9%

1,755

42.2%

661

15.9%

 

매개시설: 주출입구 접근로, 주출입구 높이차이 제거

내부시설: 출입구(), 복도, 계단, 승강기,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위생시설: 화장실

안내시설: 점자블록, ·청각장애인용 피난구유도등

 

 

중요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종류

전체 수

설치수 및 설치율

미설치수 및 미설치율

적정 설치

부적정 설치

점자블록

6,547

2,350

35.9%

2,157

32.9%

2,040

31.2%

점자표지판

10,567

3,583

33.9%

2,165

20.5%

4,819

45.6%

17,114

5,933

34.7%

4,322

25.2%

6,859

40.1%

 

 

대상시설

대상

건물수

설치 기준 항목 수

설치수 및 설치율

미설치수 및 미설치율

적정 설치

부적정 설치

강원특별자치도

18

279

123

44.1%

100

35.8%

56

20.1%

경기도

48

787

284

36.1%

374

47.5%

129

16.4%

경상남도

20

307

131

42.7%

132

43.0%

44

14.3%

경상북도

24

392

176

44.9%

147

37.5%

69

17.6%

광주광역시

4

61

35

57.4%

18

29.5%

8

13.1%

대구광역시

9

148

86

58.1%

43

29.1%

19

12.8%

대전광역시

5

80

44

55.0%

22

27.5%

14

17.5%

부산광역시

16

245

103

42.0%

102

41.6%

40

16.3%

서울특별시

25

423

160

37.8%

196

46.3%

67

15.8%

세종특별자치시

1

17

10

58.8%

6

35.3%

1

5.9%

울산광역시

5

83

34

41.0%

39

47.0%

10

12.0%

인천광역시

10

171

74

43.3%

74

43.3%

23

13.5%

전라남도

22

354

163

46.0%

131

37.0%

60

16.9%

전북특별자치도

14

231

94

40.7%

109

47.2%

28

12.1%

제주특별자치도

6

102

37

36.3%

47

46.1%

18

17.6%

충청남도

16

253

98

38.7%

119

47.0%

36

14.2%

충청북도

14

232

94

40.5%

99

42.7%

39

16.8%

257

4,160

1,744

41.9%

1,755

42.2%

661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