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부지역(동작구, 영등포구,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 횡단보도 시각장애인 보행환경 위험
- 횡단보도 점자블록 적정설치율 16.7%, 자동차진입억제용말뚝(볼라드) 적정설치율 6.4%에 그쳐 -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중앙회(이하 ‘한시련’)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는 2020년 4월 23일부터 7월 7일까지 약 3개월간 시각장애인의 횡단보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을 근거로 서울시 남부도로사업소 관할 교차로 592개소 총 2,045개의 횡단보도 점자블록, 자동차진입 억제용 말뚝(이하 ‘볼라드’) 등을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 서울시 남부도로사업소 관할 지역: 동작구, 영등포구,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
 
조사 결과 점자블록의 경우 올바르게 설치된 것은 2,045개 중 341개인 16.7%에 불과했으며, 부적정하게 설치되거나 미설치된 곳이 80.1%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의 횡단보도 접근 및 차도 횡단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상에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횡단보도에 설치된 볼라드의 경우 641개 중 올바르게 설치된 것은 단 41개인 6.4%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93.6%는 부적정하게 설치된 것으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을 비롯한 보행자들이 부딪혀 상해를 입는 등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횡단보도에 장애물(횡단보도 폭 끝선을 기준으로 60cm 이내에 설치된 지주, 가로수 등의 시설물)이 있는 것이 554개인 27.1%이며, 음향신호기 버튼 전면에 점형블록은 216개인 10.6%만 설치되어 있었다. 볼라드 전면 점형블록은 227개인 35.4%만 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어 시각장애인의 보행환경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자블록은 촉각 및 시각적 정보를 통해 횡단방향 및 대기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시설로 규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횡단보도가 이설되거나 변경된 경우 점자블록도 그에 맞게 변경설치 되어야 하며, 파손된 채 방치되지 않도록 시설관리주체의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볼라드는 차량의 진입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시설이지만 부적정하게 설치된 볼라드는 보행자 및 교통약자의 이동 장애물이 될 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우려도 있기 때문에 법적규격에 맞는 볼라드로 교체 및 보수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 연합회는 동 조사 결과를 토대로 부적정하게 설치된 곳의 개선을 서울시에 요청할 예정에 있으며, 관련 내용을 계속적으로 주시하며 서울 외 지역까지 모니터링을 확대할 계획에 있다.
 
횡단보도의 보행환경은 시각장애인의 생명과 직결된 것으로 횡단보도 이동편의 및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시설운영기관의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촉구되는 바이다.
 
이번 조사에 대한 세부내용은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서울시 남부도로사업소 횡단보도의 주요 항목별 현황 1부.
 
 
2020. 11. 24.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서울시 남부도로사업소 횡단보도의 주요 항목별 현황
 
조사대상  | 전체수  | 설치수 및 설치율  | 미설치수 및 미설치율  | ||||
적정설치  | 부적정설치  | ||||||
점자블록  | 2,045  | 341  | 16.7%  | 1,639  | 80.1%  | 65  | 3.2%  | 
 
조사대상  | 부적정 설치수  | 세부 항목  | 부적정수  | 부적정설치율  | 
점자블록  | 1,639  | 재질규격  | 367  | 22.4%  | 
점형블록 이격거리  | 842  | 51.4%  | ||
횡단 진행방향  | 436  | 26.6%  | ||
설치위치, 설치폭  | 836  | 51.0%  | ||
보도폭의 4/5 선형블록 설치  | 480  | 29.3%  | ||
유지관리  | 878  | 53.6%  | 
※ 부적정하게 설치된 1,639개 점자블록의 주된 요인으로는 유지관리(53.6%), 점형블록 이격거리가 잘못된 것(51.4%), 설치위치 및 설치폭(51.0%) 등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 전체 수  | 설치수 및 설치율  | |||
적정설치  | 부적정설치  | ||||
볼라드  | 641  | 41  | 6.4%  | 600  | 93.6%  | 
※ 횡단보도에 설치된 볼라드는 조사대상 641개 중 올바르게 설치된 것은 41개 6.4%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600개 93.6%는 올바르게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을 비롯한 보행자들이 보행 시 부딪히거나 다치는 등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대상  | 부적정 설치수  | 세부 항목  | 부적정수  | 부적정설치율  | 
볼라드  | 600  | 재질  | 39  | 6.5%  | 
규격  | 84  | 14.0%  | ||
설치 간격  | 246  | 41.0%  | ||
반사도료  | 333  | 55.5%  | ||
선형블록 이격거리  | 457  | 76.2%  | 
※ 부적정하게 설치된 600개의 볼라드는 선형블록 이격거리가 가장 부적정(76.2%)했으며, 반사도료(55.5%), 설치 간격이 1.5m 미만인 것(41.0%) 등으로 나타났다.
구분  | 세부 항목  | 설치수 및 설치율  | 미설치 수 및 미설치율  | ||
점자블록  | 음향신호기 버튼 전면 점형블록 설치  | 216  | 10.6%  | 1,829  | 89.4%  | 
주변 선형블록과 연계  | 855  | 41.8%  | 1,190  | 58.2%  | |
볼라드 점형블록  | 227  | 35.4%  | 414  | 64.6%  | |
<표 5> 서울시 남부도로사업소 관할 점자블록 설치현황
 
<표 6> 서울시 남부도로사업소 관할 보행장애물 설치현황
구분  | 세부 항목  | 부적정설치수 및 부적정설치율  | |
보행장애물  | 횡단보도 장애물  | 554  | 27.1%  | 
 
대상사업소 (조사년도)  | 전체수  | 설치수 및 비율  | |||
적정설치  | 부적정설치  | ||||
동부도로 (2017)  | 725  | 128  | 17.7%  | 597  | 82.3%  | 
성동도로 (2018)  | 322  | 10  | 3.1%  | 312  | 96.9%  | 
강서도로 (2019)  | 452  | 29  | 6.4%  | 423  | 93.6%  | 
남부도로 (2020)  | 641  | 41  | 6.4%  | 600  | 93.6%  | 
※서울시 관할 4개의 대상지를 지난 4년간 조사한 결과 지역별로 적정설치율의 격차가 있었으며, 부적정하게 설치된 볼라드가 아직까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