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새솔빛 - [157호]직접 영화 제작에 나선 유석종 씨

작성자담당자

작성일시2013-08-12 오후 1:50:12

첨부파일 없음

 

포커스 코너에서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이 함께 직접 영화를 제작하는 ‘손끝시네마’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손끝시네마’에 참여하여 직접 영화를 제작한 시각장애인 유석종 씨를 만나보았습니다.

영화를 함께 제작한 팀원들과 유석종 씨(가운데 안내견 채송이와 함께)

영화를 함께 제작한 팀원들과 유석종 씨(가운데 안내견 채송이와 함께)

 

  유석종 씨는 시각장애인 1급으로 삼성화재 안내견 학교에서 재직 중이며

이번 손끝시네마 프로그램을 통해 단편영화 “뿔”을 제작하였습니다. 유석종 씨의 영화제작 이야기를 함께 들어볼까요?

 

-어떻게 영화 제작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는지 궁금하다. 어떤 계기나 동기가 있었는지?

“일단은 영화라는 매체에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영화라는 것은 내가 꿈꾸고 싶은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직접적인 매체라고 생각한다. 사실 예전부터 한 번쯤은 연기를 해보고 싶었다. 연기라는 것은 배우들이 자신의 삶이 아닌 다른 누군가의 삶을 사는 것인데 이것이 매우 부러웠다. 일상에서는 할 수 없는 색다른 경험이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을 하던 중 수원시미술전시관에서 손끝시네마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신청하게 되었다.”

 

-본인이 직접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연기를 한 영화가 수원시미술전시관에서 상영되고 있는데 소감은 어떤가?

“내가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연기한 영화를 누군가 보고 평을 하는 것 자체가 나 자신에게 굉장히 흥미로운 일이다. 영화를 만드는 내내 즐거웠다. 시각장애인이 영화를 만들었다는 사실 자체에 대해 많이들 포커스를 맞추는데 사실 시각장애인이 어디까지 참여할 수 있는 것인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영화를 만든 것은 맞지만 이에 대해 크게 신기해할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시각장애인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 이것만 잘 정의를 하면 시각장애인이 무슨 일을 하든 어려울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시각장애인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정의하면 어려울 것이 없다고 했는데, 영화 제작 과정에서 시각장애인이 ‘할 수 있는 역할’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었는지?

“영화를 만들 때 기존의 영화 제작 과정을 그대로 고수하자고 스스로 생각했다. 즉, 시각장애인이 영화를 만든다고 해서 눈이 안 보이는 시각장애인이 카메라 촬영한다는 식의 비상식적인 행동은 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시각장애인이 할 수 있는 일은 일단 시나리오를 쓰는 것이 있다. 또한 시나리오를 쓴 사람은 극 중 인물들에 대한 성격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기 때문에 현장에 나가서 인물들에 대한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시켜주고 이해시키는 총 감독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러 사람들과 팀을 이뤄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내가 못하는 것들을 포기할 수 있어야 하고 그 못하는 일들을 사람들에게 똑같이 배분을 해서 사람들이 채워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과정이 밑받침이 되어야 팀이 화합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내 능력 밖의 너무 많은 것을 해도 안 되고 또한 너무 많은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내어줘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명확히 아는 것에서 타인과의 화합이 시작된다.”

 

-비장애인 3명과 한 팀이 되어 영화를 제작했다. 사실 여러 사람과 팀으로 새로운 것을 창작한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닌데 어려운 점은 없었는지?

“팀 전체가 우선 영화 시나리오에 대해 전체가 100퍼센트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다 같이 이해를 해야 촬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쓴 시나리오를 팀원들에게 최대한 이해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팀원들이 시나리오를 다 이해한 다음부터는 제작과정이 재미있었고 문제가 없었다. 왜냐하면 우리가 무엇을 표현해야하는지 서로가 다 알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제작과정 중간 중간에 서로간의 이견이 있을 때도 있었지만 충분한 대화로 풀어나갔다.”

 

-시나리오를 직접 집필하셨는데, 예전부터 글쓰기나 영화제작을 준비해온 것인지?

“시나리오는 이번에 처음 써본 것이다. 시나리오에 대해 따로 공부를 해본 적도 없다. 그래서 초반에는 머리가 아팠다. 애초에 이번 손끝시네마 프로그램을 지원한 이유가 연기에 도전해보고 싶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시나리오를 쓰게 될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다. 내가 정한 역할보다는 주어진 역할을 연기 해보고 싶었다. 예상하지 못했던 내용을 표현하면 재미있었을 것이다. 물론 시나리오를 직접 집필하고 연기한 이번 경험 역시 의미 있고 즐거운 시간이었다.”

 

-제작기간이 네 달이라고 들었다. 네 달 동안 제작 과정이 어떻게 이뤄졌나?

“처음 두 달은 영화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영화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이론 강의를 들었다. 이 과정에서 팀을 구성하고 시나리오 작업을 시작했다. 무엇을 써야 할 지 계속하다가 실질적으로 시나리오를 쓰는 시간은 3주 정도 걸린 것 같다. 이론 강의를 들은 후 두 달동안은 실질적인 영화 제작이 진행됐다.”

 

-영화 제목 “뿔”의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영화를 통해 전달하고 싶었던 주제와 관련이 있을 것 같다.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삶과 죽음’이다. 간략하게 영화 줄거리를 일단 설명하면 사고에 의해서 장애가 생긴 성장기 아이와, 사고 가해자, 피해자 어머니 사이의 이야기다. 장애가 생긴 아이는 안전을 위해 방에서만 지내게 되고 가해자는 바깥세상의 소리를 녹음기에 녹음을 해서 피해자에게 사회를 간접적으로 알려준다. 피해자 장애아동은 처음에는 방안에서의 생활이 괜찮았지만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이게 진짜 사는 것인지 의문을 갖는다. 즉, 인물 모두가 각자의 뿔을 감추고 있다. 결국 피해를 입은 아이가 방 안에서의 삶에 환멸을 느끼고 밖으로 나간다. 새로운 경험에 부딪히면서 희열을 느끼는 순간 피해자 아이는 교통사고로 죽게 된다. 하지만 이 죽음이 당사자에게는 매우 행복함으로 느껴진다. 이전의 삶은 몸은 살아있었지만 정신은 죽어있었는데 나와서 스스로 사회를 경험하고 희열을 경험했기에 죽음이 무섭지 않은 것이다. 이처럼 영화를 통해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하고 싶었다.”

 

-시각장애인 1급 전맹인 것으로 알고 있다. 연기를 하는 데 어려움은 없었는지?

“어려움 이라는 표현은 무엇을 포기하거나 못 했을 때 어울리는 것 같다. 결국 나는 연기를 했으니 어렵다는 표현은 안 어울리지 않나? 물론 다른 사람들이 내 연기를 보고 왜 이렇게 어설프냐고 말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스스로 나의 능력을 인정하고 만족하기에 연기가 어려웠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마지막으로 독자 분들께 한 마디 부탁드린다.

“시각장애를 막론하고 사람에게 가장 무서운 것은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떨어트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스스로가 시각장애인이기 이전에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먼저 인식해야 하는데 시각장애인으로서의 삶에 오랫동안 젖어 살다 보면 이를 잊어버리기 쉬운 것 같다. 자기 자신이 시각장애인이라는 사실에만 빠져버리면 시각장애인으로서 할 수 있는 일만 하게 된다. 그러니 스스로의 존재를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물론 시각장애인에게 터무니없는 일에 도전하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많은 시각장애인분들이 시각장애인이기 이전에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잊지 않고 새로운 일에 도전하셨으면 좋겠다.”